본문 바로가기
영화리뷰

영화'내가 죽던 날' 세상에 잔잔한 위로를 건넨다

by 조이J 2020. 11. 15.
반응형

영화'내가 죽던 날' 세상에 잔잔한 위로를 건넨다

영화'내가 죽던 날' 포스터

"

태풍이 몰아치던 밤, 외딴섬 절벽 끝에서 유서 한 장만을 남긴 채 소녀가 사라진다. 오랜 공백 이후 복직을 앞둔 형사 ‘현수’는 범죄 사건의 주요 증인이었던 소녀의 실종을 자살로 종결짓기 위해 그곳으로 향한다. 소녀의 보호를 담당하던 전직 형사, 연락이 두절된 가족, 그리고 소녀를 마지막으로 목격한 마을 주민 ‘순천댁’을 만나 그녀의 행적을 추적해 나가던 '현수'는 소녀가 홀로 감내했을 고통에 가슴 아파한다. 수사가 진행될수록 자신의 모습과 닮아있는 소녀에게 점점 더 몰두하게 된 ‘현수’는 사건 이면에 감춰진 진실 앞에 한걸음 다가서게 되는데…

 

"


영화 제목이 '내가 죽던 날'이어서 누가 죽었다는 건지 왜 죽은 건지 그 은폐된 진실을 파헤치는 미스터리 스릴러 영화인 줄 알았다. 김혜수, 이정은 외에 어떤 배우들이 출연하는지 알아보지 않고 영화를 봤는데 여러 가지 의미로 반전을 주는 영화였다.

 


 

  소녀는 왜 죽었을까  

 

소녀를 그토록 힘들게했던건 무엇일까
현수(김혜수)는 금방 사망으로 처리할 수 있을 것 같았던 사건이 수사를 하면 할수록 소녀가 자살을 선택하기까지의 느낀 괴로운 감정을 보게 된다. 세진의 아빠, 새엄마, 오빠까지 아무도 찾아오지 않는 그곳에서 혼자 뭘 했는지 얼마나 도망가고 싶었는지 cctv를 바라보는 세진의 눈빛에서 거울에 비친 자신의 눈빛이 보여 쉽게 마무리 지을 수없다. 현수는 세진을 통해 자신의 상처와 고통을 직면하고 어루만진다. 또 관객은 이런 현수의 모습을 통해 자신의 상처를 치유한다.

 


 

  섬세한 감정연기  

 

김혜수의 절제하고 절제하고 절제했음에도 불구하고 그 사이를 비집고 나오는 감정이 인상적이었다. 굳이 폭발적인 감정연기가 아니더라도 꾸역꾸역 눌러 담았을 때 손가락 틈 사이로 새어 나오는 감정이 더 가슴 아프고 안쓰럽다.
사람이 감정을 표현하는 방법으로는 언어적 표현과 비언어적 표현이 있다. 둘 중 하나라도 사용하지 못하면 그 감정이 잘못 전달되거나 온전히 전달되지 않을 수도 있어 오해가 생기는 경우가 많다. 
이정은이 연기한 순천댁은 농약을 마시고 목을 다쳐 말을 못 하는 캐릭터라 비언어적 표현에 집중한다. 표정, 눈빛, 손짓, 발짓..
이정은 배우는  비언어적 표현만으로도 감정을 정확히 표현한다. 영화를 보는 관객은 그 감정을 고스란히 느낄 수 있다. 심지어 필담을 나눌 때 그 글씨체에서조차 어떤 감정으로 눌러 적은 것인지 느껴진다.




 

  영화에 대한 호불호  


이 영화는 분명한 메시지를 주지만 관객들의 호불호는 갈릴 것 같다. 내가 느낀 호불호 요소는 크게 두 가지다. 

첫 번째, 어두운 분위기로 끝까지 천천히 흘러가는 내용이다. 대게 영화를 보다 보면 초반에 이야기가 천천히 진행되다가도 결정적인 무언가를 알게 되거나 인물이 각성하는 시점이 되면 빠르게 이야기를 풀어나가는 경우가 많다. 그런 적절한 속도감이 몰입을 깨지 않는 중요한 역할을 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 영화는 처음부터 끝까지 잔잔하게 흘러간다. 그것도 무거운 내용으로.. 누군가는 루즈하고 지루하다고 느낄 수 있을 것 같다. 
두 번째, 회수되지 않은 떡밥들이 존재한다. 현수가 수사를 하면서 박형준 형사랑 세진 와의 관계에 중점을 둔다. 결혼식을 몇 시간 앞둔 박형준 형사를 찾아가 캐물을 정도로 이 사건의 중요한 인물인 것처럼 비춰주고는 정확히 어떤 사이인지 설명 없이 마무리한다. 또 세진이 오빠는 어떤 큰 죄를 저질렀을까에 대한 궁금증도 해결되지 않은 채 끝내버린다. 현수가 세진의 오빠를 만나 세진이 유서에 오빠의 잘못에 대해 대신 사과한다고 적은 부분을 궁금해하자 오빠는 격분한다. 그리고 이 장면을 마지막으로 오빠에 대한 이야기는 언급하지 않고 끝난다. 영화의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그냥 거치는 중간과정이었다고 해도 정확히 풀고 넘어갔으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별점 ★★★☆

 

영화는 처음부터 끝까지 천천히 느린 속도로 이야기를 풀어낸다. 초반에 조금 지루하다고 느끼던 것도 잠시 점점 몰입하게 되고 후반부에는 눈물이 났다.
현수와 세진도 혼자라고 느끼는 순간 곁에 조용히 힘이 되어주는 순천댁과 민정이 있었다. 나도 힘든 나의 상황에만 치여 주변을 돌아보지 못한 것은 아닌지 한번 생각하게 된다. 여전히 내 옆에 남아 나를 걱정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내가 몰랐던 것 같다.

누구나 살다 보면 모든 게 다 내 탓 같고 내 곁엔 아무도 없고 이 무기력함을 해결할 수 없을 것만 같다고 느끼는 순간이 있을 것이다. 그때 이영화를 본다면 정말 좋을 것 같다. 이 모든 불행은 내 탓이 아니고, 나에게 아무것도 남지 않았다고 느끼는 순간 누구보다 소중하고 지켜야 할 나라는 존재가 남아있다는 것을 그리고 그런 나를 구할 수 있는 존재는 나 자신이라는 것.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190381

 

내가 죽던 날

태풍이 몰아치던 밤, 외딴섬 절벽 끝에서 유서 한 장만을 남긴 채 소녀가 사라진다. 오랜 공백 이후 복...

movie.naver.com

 

감독 : 박지완
출연 : 김혜수, 이정은, 노정의
개봉일 : 2020.11.12

본 포스팅에 사용된 이미지 및 영상은 네이버 영화에서 가져왔으며 해당 영화의 홍보 및 리뷰를 위한 인용의 목적으로만 사용되었습니다. 해당 이미지 및 영상의 저작권은 영화 제작사에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