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화타임

영화'바람과 함께 사라지다'풍요로움과 파멸, 역사 속의 사랑과 우정

by 조이J 2023. 5. 16.
반응형

영화'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풍요로움과 파멸, 역사 속의 사랑과 우정

 

영화'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리마스터링 포스터

 

“내일은 내일의 태양이 뜬다”  


남북전쟁 발발 직전, 오하라 가문의 장녀 ‘스칼렛’은 도도한 매력으로 뭇 남성들의 우상이다. 
그녀가 짝사랑하던 '애슐리'가 친구 ‘멜라니’와 결혼한다는 이야기를 듣고 뒤늦게 고백하지만 그 자리에서 거절당하고, 이 모습을 새로 이사 온 ‘레트’에게 들키고 만다. 
당황해 어쩔 줄을 모르는 스칼렛과는 반대로 이미 레트는 거침없는 매력의 스칼렛에게 빠져들고 있었다.  
전쟁은 남부에 불리해지고 스칼렛은 레트의 마차를 타고 죽을 고비를 넘기며 고향으로 돌아간다. 파란만장한 미국 현대사를 온몸으로 관통하는 가운데, 두 사람은 결혼하게 된다. 
하지만, 행복한 결혼생활도 잠시, 레트는 여전히 스칼렛의 마음에는 애슐리가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는데... 

삶의 모든 것을 뜨겁게 사랑했던 여자 ‘스칼렛’
그런 그녀를 운명처럼 사랑했던 남자 ‘레트’
생애 가장 가슴 벅찬 클래식 로맨스가 찾아온다!

 

 

 


 

 

 역사적 배경 

 

영화'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영화'바람과 함께 사라지다'는 19세기 미국 남북 전쟁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남북 전쟁이라는 역사적 사건과 함께 시대적인 변화를 느끼며 각 인물들의 사랑, 우정, 가족관계, 인간관계 등이 어떻게 변화하고 발전하는지를 주목한다면 더욱 재미있게 영화를 감상할 수 있다.

 

남북전쟁은 미국 역사상 가장 치열하고 비극적인 내전 중 하나로, 미국 사회와 정치의 변화를 야기하는 중요한 사건이기도 하다. 남북전쟁은 노예제의 문제를 중심으로 벌어졌는데 남부 주요 농업지역에서는 노예 노동력을 이용해 면적을 늘리며 경제를 발전시켰지만 이에 반발한 북부에서는 노예제도를 철폐하고 자유노동력을 이용한 산업경제 발전을 추진하였다. 결국, 남부와 북부 사이의 이러한 이념 충돌이 대화로 해결되지 못하고 전쟁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전쟁은 1861년 4월부터 1865년 5월까지 약 4년간 지속되었으며, 약 620,000명이 사망하는 대규모 인명피해를 초래하였다.

 

영화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는 이러한 역사적 배경과 함께, 남북전쟁이 일으킨 인간적인 비극과 열악한 생활환경, 그리고 사랑과 우정, 가족관계 등을 다양하게 다루면서 인기를 끌게 된 작품이다.

 

 


 

 

 연출과 촬영기법 

 

영화'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영화'바람과 함께 사라지다'는 극적인 장면과 선명한 이미지, 화려한 촬영 기법으로 유명하다. 

 

영화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의 연출과 촬영기법은 혁신적이었다. 영화의 여러 장면에서 사용된 큰 배경 프로젝션을 통해 외부의 지형이나 스카이라인을 보여주는 방식이 좋았다. 또한, 고급스러운 코스튬과 큰 장식품 그리고 세트 디자인과 악세사리들이 정교하게 제작되어 화려함을 더했다.

 

영화는 주인공들의 내면적인 감정을 강조하기 위해 화면 전환, 카메라 워크, 다양한 앵글 등을 활용하였다. 이러한 기술은 당시에는 새로운 시도였으며 그 후에도 많은 영화에서 참고하고 있는 연출 기법이다. 

 

 


 

 음악 

 

영화'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음악은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의 중요한 요소 중 하나다. 특히, 영화의 주제곡인 "타라의 테마(Tara's Theme)"는 널리 알려진 곡으로 영화에서 사용된 배경음악과 더불어 인상적인 감상 경험을 선사한다.

 

음악은 맥스 스타이너트(Max Steiner)가 작곡하였으며, 고전적인 테마와 리듬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스타이너트는 이 영화의 음악을 작곡하는 데 있어서 대중적이면서도 감동적인 음악을 만들기 위해 노력했다. 영화에서 가장 유명한 곡 중 하나는 '타라의 테마(Tara's Theme)' 이다. 이 곡은 주인공 스칼렛 오하라의 집인 타라에서 연주되는 테마곡으로 영화 전체에서 반복해서 등장하며 대표적인 음악 중 하나이다. '타라의 테마'는 영화의 분위기를 더욱 고조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영화에서는 '초록 언덕(Green Hills of Tara)'과 '젊은 사랑(Young Love)' 등의 노래도 등장한다. '초록 언덕'은 아일랜드의 전통 노래로 이 영화에서는 타라의 풍경과 연관지어 사용되었다. '젊은 사랑'은 영화의 로맨틱한 분위기를 나타내는 노래다.

 

 


 

영화'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별점 ★★★☆☆

 

 

영화를 보면서 느낀 가장 큰 감정은 당시 시대상과 인간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도 여전히 인간의 이야기로써 끌린다는 점이다. 영화에서 그려지는 인간들의 실수와 성격, 욕망, 불가피한 결말 등은 현재와도 닮아있는 부분이 많아서 공감을 자아낸다. 또한, 이 영화는 작품성 측면에서도 뛰어나다고 생각한다. 영화는 옛날 로맨스 영화의 전통적인 흐름을 따르면서도 이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더욱 심오한 이야기를 그리고 있다.

 

영화의 연출과 촬영기법은 지금 보아도 매우 독특하고 개성있다. 특히, 카메라 워크와 화면 구성은 당시에 압도적인 혁신을 보여줬을 뿐만 아니라 지금으로서도 완성도가 높다고 평가받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이 영화에서 사용된 음악은 영화의 분위기와 감정을 더욱 풍부하게 만들어준다. '타라의 테마'와 같은 대표적인 곡들은 지금까지도 이 영화의 시그니처로 자리 잡고 있다.

 

영화'바람과 함께 사라지다'는 대중적인 멜로드라마라는 분류로 끝나지 않는다. 이 영화는 당시의 역사적 배경을 토대로 인간들의 욕망과 가치를 그린 작품으로서 현재까지도 영화계에서 '감동'과 '클래식'의 대명사로 자리 잡고 있는 고전영화이다.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 다음영화 (daum.net)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Daum영화에서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세요!

movie.daum.net

 

감독 : 빅터 플레밍
출연 : 비비안 리, 클라크 게이블, 레슬리 하워드, 올리비아 드 하빌랜드
개봉일 : 1957.03.25(재개봉 2021.04.28) 

 

본 포스팅에 사용된 이미지 및 영상은 다음영화에서 가져왔으며 해당 영화의 홍보 및 리뷰를 위한 인용의 목적으로만 사용되었습니다. 해당 이미지 및 영상의 저작권은 영화 제작사에 있습니다.

반응형